본문 바로가기

역대 영화제/12회(2010) 영화제

엄마, 극장, 그리고 최초의 판타스마고리아

 

나를 최초로 영화관으로 이끈 건 엄마였다. 한밤 중 어둠을 헤집고 엄마의 손에 이끌려 또 다른 어둠의 공간으로 유영했던 것이다. 이것이 영화관에 대한 나의 첫 번째 기억이다. 그렇다. 우리 엄마는 영화팬(!)이셨다. 엄마는 집 벽면 한 귀퉁이를 극장 포스터를 붙이는 공간으로 내주고, ‘동네극장’인 대흥극장과 신영극장의 초대권을 정기적으로 받으셨다. 3-4일 단위로 프로그램이 바뀌던 동시상영 극장들의 초대는 늘 마지막 날 마지막 회였고, 엄마는 그 어둠의 여행의 파트너로 생뚱맞게도 막내딸인 나를 선택했던 것이다. 내가 다섯 살 무렵이었다.


참으로 이상하지. 나는 극장이 너무나 좋았다. 다섯, 여섯 살의 어린아이가 눈을 반짝이며 어둠 속에 앉아 빛에 노출되는 이미지를 마냥 바라보았다. 졸리지도 않았고, 그 편안함이라니. 내가 좋은 극장 나들이 파트너가 되리라는 걸 엄마는 아마 나를 극장으로 인도한 첫날 알아차렸던 것 같다. 하루는 기름이 비등점을 향해가던 프라이팬에 손바닥을 심하게 데인 날이었는데, 엄마는 심통이 잔뜩 난 나를 달래기 위해서 대충 응급 처치 한 나를 데리고 극장으로 직행했던 것이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극장에 앉아있는 동안 나는 판타스마고리아에 홀려 통증을 전혀 느끼지 못했다. 엄마의 작전은 성공했고 극장 문을 나서 차가운 바깥 공기를 마실 무렵 아릿하게 통증이 느껴졌다.


그즈음 기억나는 하나의 에피소드. <꽃피는 팔도강산>이 상영되던 날이었다. 그날 나는 처음으로 큰 결심을 했다. 영화 상영 도중 화장실을 혼자 다녀오기로 한 것. 머릿속에 수십 번 화장실 다녀오는 길의 지도를 그려보았다. 우선, 어둠을 뚫고, 왼쪽으로 걸어가는 듯한 남자의 하얀 실루엣이 그려진 반짝이는 초록색 비상구 표시등으로 갈 것, 그 후 초록 비상구 표시등 아래 빨간색 테두리를 한 검고 두텁고 무거운 커튼을 젖힌 후, 방음벽 처리된 문을 열고 나간 뒤, 통로를 따라 걸어 여자 화장실을 찾는 프로젝트! 그리고 정확히 그것을 반대로 리플레이해서 다시 엄마를 찾아오는 프로젝트.   


이 프로젝트는 성공적으로 완수되는 듯싶었다. 그런데 문제는 볼일을 다보고 다시 극장 비상구 앞에 섰을 때 벌어졌다. 머릿속에 수십 번 되뇌었음에도 불구하고 엄마가 앉아있는 자리를 찾지 못했던 것이다. 객석과 초록 빛 비상등 사이를 여러 번 왕복하다가 이내 거대한 공포가 밀려왔다. 나는 오늘 엄마를 잃는구나! 나는 미아가 될지도 몰라! 그 공포의 한가운데에서 사람들은 모두 스크린을 응시하며 ‘빵하고’ 웃음을 터트렸다. 그 집단적인 웃음소리는 나의 공포를 배가 시켰다.


그 장면만은 지금도 정확히 기억한다. 팔도강산 시리즈는 기본적으로 8도에 각각 거주하는 8명의 자식을 둔 김희갑, 황정순 부부가 자식들을 방문하면서 전국을 투어하는 서사 구조를 가진다. 문제의 그날 그 장면은, 어느 자식의 집을 방문한 김희갑이 거실 찬장에 전시된 술을 먹고 싶었으나 체면 때문에 입 밖으로 말하지 못하고, 밤이 오기를 기다려 몰래 훔쳐 먹으려다 도둑으로 오인되어 흠씬 두들겨 맞는 것이었다. “나도 저들 사이에서 즐겨야 하는데 이게 뭐람!”이라는 열패감이 몰려왔다. 그리고 엄마를 잃을지도 모른다는 극도의 공포심은 지금까지도 내가 극장에서 경험한 최고의 공포심이다. 나를 얼어붙게 한 그 어떤 공포영화도 그러한 지경으로 이끌지는 못했다. 그날 엄마 손을 꼭 붙잡고 극장문을 나섰다.


내가 초등학교에 입학할 무렵 우리 집에는 텔레비전 수상기가 생겼고, 영화가 텔레비전에 대중문화의 왕관을 넘긴 시절, 엄마는 TV를 보시며 더 이상 극장을 찾지 않으셨다. 그 후에 나는 언니를 꼬드기고 셋방에 살던 나보다 어린 소년을 꼬드겨 극장을 찾았다. 후에는 친구가, 애인이, 선배가, 후배가 나의 극장 파트너가 되었고, 혼자 극장을 찾는 일 또한 그에 못지않게 많다. 딱히 보고 싶은 혹은 업무상 보아야 할 영화가 없을 때도, 나는 극장을 찾는다. 바람이 불거나 공기가 다르게 느껴질 때, 그리고 머릿속에 약간의 공간이 생길 때, 그냥 극장 안 어둠 속에 몸을 눕히고 싶은 것이다. 그래서 주변에 이렇게 이야기하는 경우가 꽤 많다. “영화보러가(자)!”가 아닌 “극장에 가(자)!”라고.


엄마는 더 이상 극장에 가시지 않았지만, 나를 이렇게 스크린으로, 세상을 향한 창으로, 환영적인 판타스마고리아의 세계로 이끌고, 또한 극장 애호가로 구성한 원형적 이미지 속엔 엄마가 있었다. 그 때 드다들던 두 개의 극장 중에 하나가 오늘날 아트레온으로 바뀐 신영극장이다. 그리고 매년 사월 나는 서울국제여성영화제가 열리는 아트레온 극장에서 사람들과 영화로 전면적으로 만난다. 올해 ‘모성’을 주제로 영화제를 준비하면서, 나도 모르게 ‘엄마와 극장’이, 그리고 나의 황홀했던 첫 번째 판타스마고리아의 체험이 스멀스멀 떠오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