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

국제여성영화제네트워크 심포지엄 Get NetWorked Up



여성이 영화를 만든다는 것은 급진적인 행동이다

Women making film is a radical act




2015년 베를린국제영화제에서는 전세계 200여명 넘는 영화인들이 참여한 가운데 "접속하자 Get NetWorked Up"이라는 제목으로 영화 산업 및 제반 네트워크에서의 여성에 관한 심포지엄이 열렸다. 심포지엄의 주요 발언을 정리한 도르트문트/쾰른 국제여성영화제의 기사를 번역하였다.

 



 

여성감독이 만든 영화는 올해 베를린의 경쟁부문에 오른 스물 세 편의 영화 가운데 오직 세 편, 약 13% 에 지나지 않았다. 이 터무니 없이 낮은 통계에 주목한 사람은 “Get NetWorked Up” (2월 12일) 행사의 기조 연설을 한 랄프 클라인디크(Dr Ralf Kleindiek, 독일 연방 가족, 노인, 여성과 청년부서 장관) 만이 아니었다. 도르트문트/쾰른 국제여성영화제(Dortmund | Cologne International Women's Film Festival)와 뉴욕 아테나 영화제(New York Athena Film Festival)에서 공동 주관한 이 심포지엄 행사에는 약 200여명의 여성 감독, 프로듀서, 그 외 관계자들이 참석해 이를 공유했다.


도르트문트/쾰른 여성영화제 집행위원장인 질케 래비거(Silke J. Räbiger)는 환영사에서 양성 평등을 향한 노력은 1980년대부터 이미 시작해서 전혀 새로운 것이 아니라는 말로 발언을 시작했다. 질케는 최근 여성 영화계는 목적을 성취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에 대한 실질적인 논의 만이 아니라, 함께 도모하는 방법을 서로에게 배우는 데에 관심을 두고 있다고 말했다. 그녀는 또한 네트워크, 단체, 선도 조직 등은 계약, 돈, 명성과 경력에 있어서 여성이 밀려나는 걸 수수방관하지 않으려는 굳은 의지를 함께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스웨덴영화진흥원 대표 안나 세르네르(Anna Serner)는 2012년에 도입된 평등 계약에 대해 발표했다.이 계약은 현재 다수의 국가가 따를 가치가 있는 것으로 고려되고 있다. 정부와 국회, 영화 제작사, 방송국들간의 영화협정(Film Agreement)에 근거하여, 모든 영화 프로모션 예산의 50%가 2015년 말까지 연출, 각본, 제작 영역에서의 여성들에게 할당되어야 한다. 이 수치가 증명한 것처럼 그 시작은 매우 고무적이나 이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여전히 많은 노력들이 뒤따라야 한다고 세르네르는 말한다. 그녀는 또한 변화하고자 하는 의지의 선언이 위로부터 나와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단체의 수뇌부를 포함하여 실제로 연루되어 있는 모든 사람이 이를 실현시키기를 원한다는 걸 보여주는 것이 핵심이다”. 올해 예테보리국제영화제에서 스웨덴 영화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가장 영향력있는 영화인 조사에서 1위를 차지한 바 있는 안나 세르네르는 올해 서울국제여성영화제 기간동안 내한, 스웨덴 여성영화 특별전 관련 포럼에서 스웨덴의 여성영화 정책에 관해 발표를 가질 예정이다. 



여성은 좋은 영화를 만든다



이날 행사에서 상영된 단편 다큐멘터리 <여성은 좋은 영화를 만든다>의 스틸사진. 야스밀라 즈바니치 감독이 제작한 이 영상의 완성본은 오는 5월 27일 서울국제여성영화제 개막식에서 공개될 예정이다. 



오는 5월 27일 여성영화제 개막식에서 그 최종본이 공개될 예정인 단편 다큐멘터리인 <여성은 좋은 영화를 만든다 Women Make Great Films>에 출연한 여성 감독들은 이 영화에서 그들의 분노와 잦은 차별의 경험들에 대해 일제히 언급했다. 이 단편 다큐멘터리를 주도하여 기획하고 준비한 사람은 야스밀라 즈바니치(Jasmila Žbanić) 감독이었다. 이 영상에서 제니퍼 리더(Jennifer Reeder) 감독은 극단적인 말을 한다. “저는 감독이고, 저에겐 여자 성기가 있습니다. 제가 여자 성기를 가졌다는 것이 영화 산업에 종사하는 많은 사람에게는 큰 문제가 되나 봅니다.” 변화와 탄탄한 공동체에 대한 열망은 그 이전보다 훨씬 더 명확해지고 있으며 “여성들이 훌륭한 영화를 만든다”는 사실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여성이 영화를 만드는 것은 급진적인 행동이다 Women making film is a radical act”. <셀마 Selma>의 감독인 에바 두버네이의 말에서 인용한 이 문구를 시작으로, 심포지엄의 의장인 멜리사 실버스테인(Melissa Silverstein, 아테나 영화제 집행위원장/ 위민 앤 할리우드 창립자 및 편집장)이 국제여성영화제네트워크에 소속해 있는 각지의 대표들과 함께 토론을 시작했다.


각본가이자 영화감독이며 ‘할당제 옹호 필름 디렉션(Pro Quota Film Direction)’의 대표인 에스더 그로넨보른(Esther Gronenborn)이 처음 말문을 열었다. 할당제 옹호 필름 디렉션은 현재 250명이 넘는 독일 여성 감독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말 그대로 ‘할당제’, 즉 영화 제작비의 동등한 (남녀) 공유를 쟁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에스더 그로넨보른이 독일연방 영화 및 텔레비전감독협회가 발표한 최근의 통계를 설명했을 때, 모두 다 그 통계에 대해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독일에 있는 제작자들, TV 관련 책임자들, 영화 산업 진흥 관계자들 모두가 이 상황을 너무도 잘 이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자의 책임을 서로에게 떠넘기는 악순환을 반복하고 있었다. 이 할당제 옹호 필름 디렉션은 계약을 할 때 스웨덴처럼 평등에 관한 조항과 정부 지원이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걸 제 목표로 하고 있다. 


유럽여성시청각네트워크(EWA, European Women Audiovisual Network)의 케이트 브라운(Kate Brown)은 영화 업계는 로키 산맥과 같다고 말한다. 즉 남성들이 온갖 좋은 장비들을 동원하여 산 길을 닦았던 반면에, 여성들은 하이힐을 신고 돌로 가득 찬 가방을 맨 채로 그 산길을 걸어가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다양성이 보장되려면, 영화 산업에서 모든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여성과 남성 간의 진정한 평등을 목표로 한 정책들은 진작에 실행했어야 했다. EWA는 네트워크의 이용자들에게 각종 워크숍이나 온라인 강의의 형태로 그러한 전문적 계발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네트워킹을 통해 보다 더 많은 이용자를 확보하는 것을 현재의 가장 커다란 목표로 삼고 있다.


5,000명 이상의 영화 감독이 소속되어 있는 디렉터스 유케이 (Directors UK)의 부의장이자 영화감독인 베릴 리처즈(Beryl Richards)는 영국의 상황을 소개했다. 영국 또한 영화와 TV 계는 심각한 젠더 불균형이 있으며,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는 정형화된 역할들이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었다. 영화와 TV를 위한 평등 캠페인 지표에 따르면 여성은 단순히 독립적인 영역에, 18% 정도만 그것도 저예산 범주에서만 재현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타마라 다윗(Tamara Dawit)은 미국의 여성 영화감독들의 새로운 네트워크인 ‘필름 파탈(Film Fatales)’의 대표로 참석했다. 필름 파탈은 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 정보를 공유하고, 이슈들을 논의하기 위해 회원들에게 적절한 협력 파트너를 찾아주는 정규 미팅을 열고 있다.



 

국제여성영화제네트워크 심포지엄 Get NetWorked Up의 주요 스피커들의 모습. © Birgit Kleber



고립에서 벗어나라!


전반적으로 “함께”한다는 느낌은 이후에 진행된 패널과 청중 사이의 대화에서도 느껴졌다. “함께” 어떤 것이 문제라는 점을 알았다. 기관이 책임질 수 있도록 하는 “함께” 압력을 행사해야 한다. 멜리사 실버스테인이 적절하게 말했듯 “영혼을 자유롭게 하라”. 여성이 롤 모델을 찾을 수 있는 새로운 구조가 필요하며, 필름 파탈이나 유럽여성시청각센터, 쿼터 옹호 필름 디렉션과 같은 네트워크들이 정확하게 무엇을 하고 있는 네트워크인지 분명해져야 한다. 즉, 자신들의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며 함께 일하고 서로를 지지하는 등 현재 여성 감독들이 하고 있는 노력을 더 분명하게 알려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더 많은 여성들이 (결정권을 행사하는) 핵심적인 위치에서 좀 더 적극적으로 움직여야 한다.

 


동등하게 되고 싶다는 게 꿈이라니, 이 얼마나 어이없는 상황인가?


여전히 사람들은 여성들이 이야기하는 시각이나 이야기에 믿음을 주지 못하는 것 같다. 이야기라는 것은 사회의 여러 측면에 대해 말하고, 사회를 반영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여성 감독들이 남성 동료들과 같은 재정적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가질 때 변화는 비로소 일어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변화는 오로지 책임자들이 여성들이 하는 작업이 충분히 수익성이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정부가 이를 법제화할 때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목표는 TV와 영화에서 여성들이 50%의 할당량을 차지하는 것이다. “동등하게 되고 싶다는 것이 꿈이라니, 이 얼마나 어이없는 상황인가?”라고 멜리사 실버스테인은 묻는다. 여성들이 이 업계에서 훈련받는 것 또한 중요하다. 타마라 다윗은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95%의 사업과 5%의 예술”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엠마 아산테(Amma Asante)가 이날의 마지막 연설의 주인공이었다. 영화 <벨>의 감독이자 바프타 Bafta 상 수상 배우이기도 한 엠마 아산테는 그녀의 경력, 피부색이 검다는 이유로 자주 겪어야 했던 많은 장벽들, 영화산업에서 소수자들을 좀 더 가시화하기 위한 투쟁 등을 매우 인상적으로 들려줬다. 그러면서도 그녀는 자신이 버틸 수 있는 힘은 자신이 속한 커뮤니티에서 나왔다는 점을 강조했다. “저는 ‘여성’이라는 커뮤니티에 속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그녀는 모든 참가자들이 싸우는 여왕(a warrior queen) 이 되기를 요구했다.


이번 행사를 함께 주최한 도르트문트/쾰른 국제여성영화제와 뉴욕 아테나 영화제는 수년간 극히 낮은 여성 감독 영화 상영 비율을 보여온 칸영화제에서 이와 동일한 행사를 열자고 이들이 속해 있는 국제여성영화제 네트워크(IWFFN)에 공개적으로 요구한 상태이다. 




글: 도르트문트/쾰른 국제여성영화제

번역: 서울국제여성영화제 홍보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