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

연재 ⑤ 여성영화제의 문화정치를 재조정하기 / 권은선




* 연재순서

1부: 영화 산업과 여성 영화 정책

① 할리우드와 미국 독립영화 산업에서 여성 영화인의 현재 / 멜리사 실버스테인(아테네영화제 집행위원장, ‘우먼 앤 할리우드’ 창립자 및 편집장)

② 스웨덴의 “성인지적 영화 정책” 사례 / 토베 토르비욘슨(스웨덴영화진흥기구 영화/사회원장)


2부: 여성영화제의 문화정치학과 국제 네트워크

③ 프로그래밍의 기술: 여성영화제의 실험, 과거와 현재 / 노르마 게바라(프랑스 끄레떼이유여성영화제 프로그래머)

 F워드: 여성영화의 미래적 이슈에 대응하기 / 베티 쉬엘(독일 도르트문트여성영화제 프로그래머)

 여성영화제의 문화정치를 재조정하기: 서울국제여성영화제 사례 / 권은선(서울국제여성영화제 집행위원, 중부대학교 교수)

 이행기의 네트워크, 아시아 여성영화제 네트워크의 전망 / 아낫 쉬퍼링 코헨(이스라엘여성영화제 집행위원장)




여성영화제의 문화정치를 재조정하기: 서울국제여성영화제 사례

 

 

권은선 (서울국제여성영화제 집행위원, 중부대학교 교수)


 

 

결핍에서 권한부여로 

처음 서울국제여성영화제가 시작을 알리고 무수히 던져진 질문, “여성영화제가 왜 필요한가”, “우리에게 꼭 필요한 영화제인가에 직면했을 때 가능한 대답들 중의 하나는 결핍이었다. 현실에서의 성평등의 결핍(불평등), 재현에서의 여성의 결핍, 영화 산업 안에서 여성영화인의 결핍, 여성 영화사의 결핍, 여성주의 문화 이벤트의 결핍, 씨네필들의 욕망을 채워줄 공간의 결핍 등등. 1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가 열렸던 1997, 그때까지 한국 영화사에 등재된 여성 감독은 단 7명이었다. 그러므로 1회 영화제의 개막작으로 한국 최초의 여성 감독인 박남옥의 첫 번째이자 유일한 영화인<미망인>(1953)을 복원하여 상영한 것은 의미있는 결정이었다. 여성주의적 영화 실천의 첫 단계는 의당 기존 남성중심적 영화사에서 누락된 여성 영화인의 이름을 기입하고, ‘여성영화사를 새로 작성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노력은 이후 여성영화인 사전발간 등으로 이어졌다.

 

결핍이 욕망의 전제조건이듯, 무엇보다 그간 주류영화에서 볼 수 없었던 여성의 경험과 욕망 등을 올곧이 재현하는 영화들의 상영, 그리고 그 영화들이 자아내는 정동을 토론장으로 확장한 ‘Q&A와 포럼등은 영화를 매개로한 여성주의 실천으로서, 젠더 정치에 민감한 새로운 여성주의적 주체성을 생산해 내는데 기여했다. 시작부터 지금까지, 서울국제여성영화제는 영화 상영에 버금가게 토론의 장을 강조하는 기조를 줄곧 유지해왔다. 여성영화제는 여성들이 만나고, 여성주의적 이슈를 활성화하고, 네트워킹하며 힘을 부여하는 대항적인 공공 장소였다. 김은실은 한국에서 여성영화제는 여성들에게 여성으로서 살고자 하는 문화적 판타지의 시공간을 제공했으며, 깊이 공감할 수 있는 여성들과의 집단적인 관람이 여성영화제가 소구하는 상상적 공동체로서의 여성과 연대하는 체험을 하게함으로써, 여성 관객들이 자신의 한계를 넘어선 자아확장, 탈주의 경험, 즉 임파우어먼트 경험을 한다고 말했다.

 

여성주의 영화의 소개와 더불어 서울국제여성영화제가 주의를 기울인 부분은 여성영화인 발굴 및 지원이다. 2회 때 단편경쟁 섹션을 마련하였으며 그 다음해에 아시아지역으로 그 범주를 확장하였다. 지금까지 수많은 아시아의 젊은 여성 감독들이 아시아 단편경선을 통해 그들의 존재와 역량을 입증하였으며, 이를 계기로 이후 전문적인 경력을 쌓아갈 수 있었다. 이러한 노력은 여성주의 다큐멘터리 지원 사업인 다큐멘터리 옥랑상’, 그리고 이후 옥랑상을 병합한 피치&캐치로 확장되었다. 옥랑상의 지원을 받은 다큐멘터리 필름메이커들은 이후 한국 독립 영화 장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지난 16년간 서울국제여성영화제는 이처럼 여성을 둘러싼 현실과 재현 real & reel’ 양쪽에서 성적 불평등과 제 결핍을 해결하고 해소하기 위해, 즉 사회적 변동을 향한 욕망에 의해 추동되었다. 내부적으로 서울국제여성영화제 집행위에서 부족함에 대한 감각은 실제로 여성주의 의제와 담론을 더욱 정교하게 절합하고 여성영화제의 규모를 지속적으로 확장시켜오게끔 한 원동력이기도 했다.

 

 

그러나 최근에 서울국제여성영화제가 맞닥뜨리고 있는 사회문화적 환경은 이전과 같지 않다. 많은 사람들이 지난 수년간 성평등이 완전하지는 않다 해도 충분히혹은 그런대로이루어졌다는 착시에 빠져있다. 여성 복지에 관한 몇몇 법과 제도변화, 소수의 고급 여성 인력의 사회진출 등이 이러한 착시 효과를 만들어 낸다. 여성가족부는 조롱의 대상이 되고 페미니스트는 페미년’ ‘꼴페미등으로 폄하된다. 서울국제여성영화제 10회 기념백서에서 도로테 베너Dorothee Wenner는 서울국제여성영화제를 방문했을 때 한국의 젊은 관객들이 페미니즘을 멋지다고 여기는 데 놀랐다고 말한 바 있다. 그러나 그녀에게 격세유전적 느낌을 주었던 그 태도는 빠른 시간 안에 이곳에서 변화한 것 같다. 더 이상 젊은 관객들이 페미니즘에 매력에 느끼거나 페미니스트가 된다는 것을 멋지게 받아들이지 않는다. 페미니즘은 유행이 지난 운동, 교양 교과서에 실린 내용쯤으로 간주하는 태도들이다. 지난 수년간 페미니즘에 대한 백래쉬backlash알파걸’ ‘된장녀등 무수한 ‘OO의 사회적 담론으로 돌아왔다.

 

또한 글로벌 도시인 서울에서는 문화적 이벤트가 일년 내내 충분히열리고 있으며, 전국적으로 다양한 규모를 가진 충분한각종 영화제들이 쉬지 않고 열린다. 처음 여성영화제가 닻을 올렸을 때만해도 한국에서 열리는 국제적인 규모의 영화제는 일년 전 개막한 부산국제영화제가 유일했다. 이제 지역적인 차원에서 여성영화제는 프로그램 및 공적기금을 놓고 다른 여타의 국제영화제들과 끊임없는 경쟁을 벌여야 한다. 기금과 관련해서 문제적인 것은 신자유주의에 맞게 수량화, 계량화된 지표들이다. 많은 주목받는 여성감독들은 조금 더 큰 규모의 영화제에서 자신의 작품이 소개되길 원하며, 가끔은 명백히 여성주의적 관점을 가진 독립영화들조차도 여성영화제가 아닌 다른 영화제를 통하여 소개되길 원하기도 한다. 그런 경우, 여성영화제에서의 상영이 게토화의 위험을 환기시키는 반면, ‘페미니즘의 주류화를 통해 여성주의적 영화에 우호적이고 개방적인 다른 영화제들에서 영화를 상영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더 안전하고 영화 수용 맥락의 범위를 확장한다고 느끼는 것이다. 이것이 반드시 부정적인 측면만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페미니즘의 주류화를 통해 여성주의 프로젝트들이 규모가 더 큰 다른 영화제들에서 기금을 받는 예와 가능성이 높아졌다. 또한 여성영화의 전반적인 확산이라고 평가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동시에 여성영화제가 자신 고유의 정체성을 유지하고 관객들에게 매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전 보다 더 많은 고민과 노력이 필요해졌다.

 

오늘날 모든 것이 충분하다고 느끼는 변화된 사회문화적 환경 속에서, 여성영화제는 끊임없는 목표의 재조정과 협상이 필요한 시점에 놓여져 있다. 충분한 자원, 소프트웨어, 문화적 이벤트, SNS 토론장과 미디어 환경 속에서 장소성에 기반한 공동체적 연대는 점점 더 쇠약해지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문화정치적 이벤트로서 서울국제여성영화제는 영화제가 열리는 시간, 공간에 구체적인 경험과 에너지가 새겨지고 순환하는 장소성을 살리기 위한 고민을 하고 있다. 그에 대한 대안은 일회적인 이벤트 외에 일상적이고 항시적인 프로그램 및 네크워크를 연중으로 산포시키는 것이다. 서울국제여성영화제가 운영하는 이주여성워크샵’, ‘아카이브 보라’, ‘정기상영회’, ‘시네-페미니즘 교육’, ‘지역상영회등이 그것으로 이 프로그램들은 일상적인 네트워크와 구체적인 접촉 등을 여성주의적 문화정치를 실천하고 있다.

 

 

여성주의 영화/비디오 액티비즘을 재조정하기

장기간 지속되는 경제 위기라는 언술 속에서 경제가 모든 사회적 담론들 속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고, 다른 사회적 영역에서처럼 문화 영역 역시 신자유주의적 경제 논리로 치닫고 있는 요즘이다. 20052회 파비 FVABi 머리글에서 페미니즘 비디오 액티비스트의 중심은 비디오가 아닌 목소리와 행동주의 입니다라고 밝힌 김연호는 오늘날 페미니즘 시각예술이 단순히 과거의 트렌드 정도로 치부되고 있다고 우려한다.

 

서울국제여성영화제는, 다른 여성영화제들이 그러한 것처럼, 여성주의와 영화, 영화운동의 결합을 추구하면서 처음부터 페미니스트 액티비즘을 그 중요한 핵심으로 가져왔다. 여성운동지원 및 여성주의 비디오 액티비즘의 확산은 서울국제여성영화제의 주요 목표였다. 2002년 서울국제여성영화제의 국제포럼은 아시아에서의 여성주의 영화/비디오 액티비즘과 이미지의 권력이었다. 여성영화제는 여성주의 영화/비디오 액티비즘을 통해 정치적 이슈에 대해 지역적으로 대응하고, 주류 미디어의 묘사에 대해 반대하거나 이를 교정하며, 미디어를 통해 공동체를 형성하고, 오늘날의 정치적 투쟁들과 이들이 생산하는 새로운 주장들이 창조한 새로운 정체성을 형성하고자 했다. 2002년 포럼에 참석했던 알렉산드라 주하즈Alexandra Juhasz는 두 가지 원칙에 입각하여 페미니트스 액티비스트 미디어를 제작한다고 말한다. 하나는 미디어가 의미를 창조하고 변혁하는 가장 힘 있는 사회적 동력이라는 것에 대한 믿음이고, 다른 하나는 작업자 본인이 세상에 참여하고 세상을 변혁시키기 위해 작업을 하고 있다는 의식이다.

 

80년대 중반에 출현한 비디오의 저렴한 비용과 휴대성, 그리고 손쉬운 접근성은 이전에 동영상 작업을 할 수 없었던 여성, 유색인종, 빈민계층 등 새로운 제작자들의 기술적 접근을 가능하게 하였다. 여성영화제는 이러한 비디오를 비롯한 새로운 미디어들의 폭발적 등장 속에서, 관객과 관련된 사회적 전략과 시각 예술적 전략을 결합한 영화/비디오들을 상영하였다. 특히 여성영상공동체 섹션은 서울국제여성영화제가 영화를 매개로 여성주의 사회운동에 적극적인 수행자가 되기 위해 고안한 프로그램이다. 전문적인 영화제작과 배급을 목표로 하지 않는 단체나 아마츄어들이 참여할 수 있는 섹션이었다. 이 섹션에선 주류미디어가 외면하거나 왜곡해온 여성들의 살아있는 목소리를 담아 집단적으로 공유하고자 하는 영화와 비디오 작품들을 토론하고 제작자와 단체를 초대하여 각종 쟁점에 대한 공개 포럼을 개최하였다. 영화와 비디오를 매개로 여성운동의 쟁점과 방향에 대해 운동 주체들 간의 대화와 연대의 장을 제공한것이다. 아프가니스탄 여성운동단체 RAWA, 대만의 탈성매매 여성단체 COSWAS, 여성민우회 등이 제작한 작품 등이 상영되었다.”

 

여성영상공동체 섹션이 사라진 이후에도 여성영화제는 전 프로그램 속에 공공적 관심을 가진 노동, 가족, , 인종적 차이, 장애, LGBT 등 다양한 주제들을 가지고 작업한 작품들을 상영하였다. 페미니스트 영화/비디오 액티비즘에 대한 강조는 여성영화제의 문화정치학을 가장 명확하고 가시적으로 보여주는 것이었다. 영화/비디오 액티비즘을 통해 서울국제여성영화제는 개인과 공동체를 묶어내고, 문화적 유희를 정치적 참여와 묶어내고자 노력했다.

 

페미니스트 작업은 페미니즘과 페미니즘적 정치 운동들에서 출발한다. 서울국제여성영화제는 사람들의 이미지, 공동체의 견해를 기록한 영화/비디오를 상영하고 토론의 장으로 확장함으로써 이미지들을 공적 역사에 기입해왔다.

 

 

페미니스트 비디오 액티비즘의 현재화 혹은 재조정을 고려할 때, 우리는 디지털 기술과 정보네트워크의 확장에 주목해야만 한다. 2000년대 이후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발달과 인터넷의 활성화는 넷 기반의 비디오 액티비즘의 가능성을 확장시켰다. 많은 비디오들이 인터넷을 기반으로 상영되었으며, 디지털 영화제를 비롯해 온&오프에서 동시 상영하는 영화제들이 출현하였다. 더욱이 미디어 테크놀로지의 급속한 성장, 2.0시대의 개막, 소셜 미디어와 소셜 네트워크의 확산은 여성영화제가 페미니즘 액티비스트 비디오의 제작, 배급, 상영 은 물론 관객과의 접촉면이라는 측면에서 재고려하여야 할 사항이다.

 

혁명적인 매체로 여겨졌던 캠코터는 더욱 저비용 고성능의 시대로 접어들었고, 이를 넘어서 이제는 DSLR이나 스마트폰으로도 간단한 비디오영화를 제작할 수 있다. 누구나, 더욱 손쉽게, 미디어에 접합할 수 있으며 간단한 프로그램과 툴로 노트북에서 편집할 수 있고 즉각적으로 인터넷에 업로딩이 가능하다. 이제 비디오 액티비스트들이 꿈꾸었던 잠재적으로 누구나 비디오 액티비스트들이 될 수 있는 세상이 된 것 같다. UCC의 활성화와 소셜 미디어 및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확장은 영상재료들을 매개로한 소통의 일상화를 실현하고 있다. 액티비스트 비디오가 대중단위의 관객들과 접촉할 수 있는 새로운 미디어 공공 영역이 창출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다큐멘터리 제작자들은 이 공간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영상재료를 얻을 수도 있다.

 

사이버 공간과 공동체는 여성이나 소수집단 등 경제력과 권력이 없는 사람들에게 토론과 저항의 공간을 마련해주며 다원적이고 탈국가적인 주체성의 출현을 돕는다. 여성영화제는 페미니스트 아티스트들이 이러한 새로운 테크놀로지가 펼쳐놓는 미디어 환경과 공공영역을 탈장르적으로 실험을 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사회적 사건, 혹은 사회적 소란을 적극적으로 만들어낼 수 있다. 앞으로 on-line에서 여성주의 영화/비디오를 상영하고 토론하는 공통의 장을 만들 것을 제안하고 싶다. 최근 서울국제여성영화제는 여성 다큐멘터리 감독들의 네트워크를 만들고 SNSweb을 기반으로 한 일상적인 소통을 강화하고 있다. 물론 이러한 장을 통해서 NAWFF 및 여성영화제들 간의 일상적인 프로그램 및 정보 교환 및 소통이 가능할 것이다.

 

 

그런데 넓은 사회적 맥락에서 여성영화제가 직면하고 있는 잠재적인 위협 요소는 최근 한국사회에서의 전반적인 사회운동 및 문화정치의 위축이다. 남인영은 1990년대 한국에서의 영화제들의 폭발은 한국영화에 투여되었던 변화에 대한 기대, 열망과 일상적이고 문화적이고 제도적인 차원에서 억압과 불평등에 주목했던 신사회운동이 절합되면서 생성되었던 것이라고 지적하였다. 하지만 지금 본격적인 신자유주의와 보수 정권 하의 한국사회에서 시민사회의 활동은 위축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문화정치도 그 힘을 받고 있지 못하다. 사회를 견고하게 유지했던 유대관계들, 공동체적 연대, 공적 영역은 축소되고, 연성화된 정치는 점점 더 토크쇼처럼 엔터테인먼트화 되고 있다. 힐링이 가장 중요한 문화적 키워드가 된 사회에서 사람들은 어둡거나 진지한 영화를 힘겨워하거나 영화에서 치유받기를 원한다.

 

 

페미니스트 공공영역(여성장)의 생산 정동, 공감, 활력 

여성영화제의 문화정치가 추구하는 것은 여성들의 경험을 공적으로 절합하는 것. 그리고 그에 대한 가능성을 증가시키고 변화시키고 확장시키는 영역 즉 대항적 공공영역의 확보였다. 심광현은 오늘날 부족한 것은 지식이나 정보 혹은 접근과 소통을 빠르고 용이하게 만들어 줄 수 있는 이 미디어 테크놀로지가 아니다, 부족한 것은 분산된 지식과 관심들을 지속성 있게 연결해줄 수 있는 공통의 주제와 공감의 장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개인의 경험을 커뮤니티와 공적으로 절합시키는, 삶을 정치화하는, 페미니스트 작업이 대중들과 소통하는 것은 이러한 공감의 지()대를 기반으로 해야 할 것이다. 공공영역의 생산에서 정치, 저항과 더불어 정동이 중요한 이유가 그것이다. 알렉산더 클루거Alexander Kluge는 공공영역은 정치, 정동, 저항을 생산하는 공간이어야 한다고 주장한바 있다.

 

김소영은 미디어, 급진적 민주주의, 그리고 여성장(2003)이라는 에세이에서 여성주의 운동을 미디어, 민주주의와 절합하여 바라보면서, 공공영역의 지역적, 여성주의적 번역인 여성장(女性場)이라는 개념을 제시하였다. 그녀는 여성장을 아방궁 종묘 점거 프로젝트, 군산 매춘여성 추모장이었던 여성장(女性葬), 서울국제여성영화제, 여성주의인 터넷사이트, 2002월드컵에 등장한 여성주체들, 그리고 인터넷과 도시 전광판에서 열려진 가능성이라는 사건들의 배열 속에서 살펴보고 있는데, 특히 전광판이라는 새로운 뉴미디어의 활력이 새로운 여성주체의 출현과 관련 맺은 방식을 탐사하고 있다. 여기서 전광판이라는 뉴미디어를 통해 마치 활극처럼 재현된 2002월드컵의 체험에서 미디어의 활력이라는 부분이 중요하다.

 

우리는 2008미국쇠고기수입에 반대하는 촛불시위를 통해서 새로운 소녀와 아줌마주체성의 출현을 보았다(촛불시위의 기원이 된 미선이효순이추모 시위역시 마찬가지). 2008년 촛불시위가 대중들에게 불을 붙인 것은 유비쿼터스 시대의 간단한 미디어 장치를 통한 소셜 미디어에서의 생중계였다. 또한 많은 사람들이 지적한 이 촛불시위의 놀이적 성격을 강화한 한 요소는, 진중권이 지적했듯이, 마치 게임처럼 쌍방향적으로 진행된 생중계를 통해서 형성된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뒤섞인 듯한 새로운 현실감이 제공하는 활력 때문이기도 했다.

 

활력이라는 정동과 더불어, 김소영의 여성장에서 중요하게 생각해봐야 하는 것은 대형전광판 등 달라진 미디어 뿐만 아니라, 그것이 동시에 여성장(女性葬)등 물리적, 육체적 공간 역시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다. 여성영화제가 피우는 소란은 활력과 정동, 공감에 기반 한 것이어야 하며 그것은 온라인을 비롯한 미디어 공간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물질적이고 육체적인 공간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야 한다.








Readjusting Cultural Politics of Women’s Film Festival:

The Case of siwff

 

KWON Eun-sun (Professor, Joongbu University / Executive Committee Member, siwff)


 

From Lack to Empowerment

When siwff started, they asked many questions like “why women's film festival is needed?,” “is it really necessary?.” One of possible answers was ‘lack.’ The lack of gender parity in reality, women in representations, female filmmakers in the film industry, women's film productions, events of feminism culture, places to release cinephiles' desires, and so on. Until 1997 when the first siwff was held there were only 7 female directors on the Korean film history. So, it was a very meaningful decision to restore and screen as Opening Film Park Nam-ok's first and last film, The Widow (Mimangin)(1953) who is the first female director in Korea, because the first step of the feminist practice in film is naturally to register omitted female filmmakers' names on the film history which has been androcentric, and newly write ‘women's film history,’ leading to publication of Dictionary of female filmmakers in Korea .

 

As lack is a precondition of desire, siwff has screened films fully representing women's experiences and desires which haven't been dealt with by those of the main-stream, and extended affects evoked by the films to the site for discussion through ‘Q&As and Forums.’ They are feminist practices by media of cinema to produce new feminist subjectivity responsive to gender politics. Since the first time, siwff has kept emphasizing the sense of the spot of discussion no less than film-screening. Women's film festivals have been an oppositional public place where women meet and activate, network, and empower feminist issues. Kim Eun-shil said, in Korea, they gave women the time and place of cultural fantasy of ‘living as women.’ Moreover, in being a collective audience together with other women and sharing some sympathy, they solidarize with ‘women’ as imaginary community, which siwff is aiming at, to experience self-extension and flight beyond their limitations, that is, empowerment.

 

Along with the introduction to feminist films, another part siwff pays attention to is to find and support female filmmakers. At the second festival, it arranged the competition section for short film and, at the third, enlarged the coverage to Asia. Since then, numerous Asian female filmmakers have proved their presences and abilities through ‘Asian Short Film&Video Competition,’ building careers as professionals. These trials leaded to the supporting project for feminist documentary film, ‘Ock Rang Award,’ and then, ‘Pitch&Catch.’ The filmmakers winning the support of Ock Rang Award have had great parts in the independent film scene of Korea.

 

For the past 16 years, siwff was motivated by the desires of social change, that is the resolution of gender inequality and deficiency against women in both ‘real and reel.’ (Seeing) Internally, the sence of deficiency actually made the executive committee more finely connect feminist agenda with discourse and constantly enlarge the scale of the festival.

 

However, recent socio-cultural circumstances surrounding siwff is not like before. Quite many people have an illusion that, although it's not perfect, gender partiy has come true enough or at some degree. It was derived from several changes in law and system about women welfare and entries into society of few of high class female work forc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of Korea) is being a laughingstock and feminists are spoken with slangs like ‘Femi-bitch,’ ‘Pig-headed femi,’ and etc. In The 10th siwff Anniversary, Dorothee Wenner said that she had been surprised because young Korean audience had felt cool about feminism, but that attitude which made her feel the changing times seems to move out, once again, from here. Young audience at this time don't feel feminism or being a feminist attractive. They regard feminism only a movement out of fashion or one of the contents in a textbook for a liberal arts class. You can be aware of backlashes against feminism with social discourses of ‘~~girl’ like ‘Alpha-girl,’ ‘Doenjang-girl.’

 

Besides, Seoul, as a “Global” City, already has ‘enough’ cultural events for a whole year, and in terms of the whole country, there are ‘enough’ film festivals at various sizes. About siwff's launching, there was only PIFF that was held at an international scale in Korea, which had started a year earlier than siwff. Yet, siwff, at the local level, has to compete with many other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in programs and public foundations. The important things for foundation are indexes with numbers and measures in accordance with neoliberalism. Many women filmmakers receiving attention like to show their works in bigger-scaled film festivals and sometimes even independent films with obviously feminist viewpoints want to be introduced through other film festivals, not women's.

 

In those case they seem to think that while screening at a women's film festival can evoke the negative possibility of ghettoism, screening at other ones which are friendly and open-minded to feministic films is relatively safer and can extend the range of the context of film acceptance. It can not be said totally disagreeable with feminism. Feminism's entry into the mainstream made the cases and the possibilities to get funds from other big budget film festivals increase. Also, it may be estimated as “the widespreadness of feminist films.” However, at the same time, women's film festivals have got to study and try harder than before to keep its own identity and draw audience's attention.

 

As mentioned earlier, in the changed socio-cultural circumstances where people feel almost everything is enough, they need the incessant readjustment and negotiation of its aim. In adequate resources, softwares, cultural events and debate spaces with SNS and media environments, ‘the solidarity as a community based on placeness’ is getting decreasing. At this point, as a politico-cultural event, siwff is thinking hard to make the placeness work through carving and cycling concrete experiences and energy on the time and space in which the festival is happening. A method is to disperse programs and networks for everyday and at all times besides the annual event, such as Migrant Women Filmmaking Workshop, Archive Bora, regular screenings, School for Cine- Feminism, local screenings, etc., which practice feminist cultural politics with networks in everyday life and direct contacts.

 


Readjustment of feminist film/video activism

In these days in the context of the long lasted economical crisis, economy is most important of all the social discourses and there's not exception even in the field of culture which has been being influenced by neoliberalism. In the preface of the second FAVBi(Feminism Video Activist Biennale), 2005, Kim Yeon-ho worried, “the heart of feminism video activists is voice and activism.” ... “recently, feminist visual art has been regarded as a used-to-be trend”

 

siwff, as other women's film festivals did, purposed the join between feminism and film and film movement with the keypoint of the feminist activism. At its international forum, 2002, it focused on “Theme Feminist Film/Video Activism

and the Power of Image in Asia.” With feminism film/video activism, it intended to “deal with political issues at the local level, oppose and correct the depiction of the mainstream media, and form a new identity created by today's political campaigns and assertions.” Alexandra Juhasz said that feminist activist media were made on the two principle, one, the belief that media are most powerful of social dynamic forces which create and change meanings, the other, the sense that making a work is participating and changing the world.

 

The appearance of video in the mid-80's made possible the technical approaches of women, colored races, the poor class, etc. because of resonable cost, portablity, and convenient access. In these explosive appearances of new media including video, siwff screened films and videos where social strategies and visual art strategies for spectators were conjoined. Particularly, the section “Feminist Film and Video Activism” had been the program designed to perform feminist movement positively with the medium of film. it had been for non-professionals or amateurs which had been not aiming at distribution. This section had included discussions about films and videos with the women's voices ignored by the mainstream media and open forums for various issues with guests of filmmakers and those groups. It had been the place of talk and solidarity between movement subjects about the issues and the direction of feminism movement by the media of film and video. There had been works by RAWA(Revolutionary Association of the Women of Afghanistan), COSWAS(The Collective of Sex Workers and Supporters in Taiwan), women link associations, etc. screened.

 

Although the section was closed, siwff screened works focusing on labor, family, gender, racial discrimination, disability, LGBT, etc. The emphasis on feminist film/video activism showed siwff's cultural politics most clearly. It tried to connect individual with community and cultural amusement with political participation. A feminist work starts from feminism and feminist political movements. siwff has recorded the images on the official history by screening films/videos containing individuals ‘images and communities’ opinions and bringing them to the place of discussion.

 

Considering the readjustment of feminist video activism, we have to pay attention digital technologies and the extended information network. The rapid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ies and the internet since 2000 has enlarged the possibility of net-based video activism, for example numerous videos screened on the internet and double screenings on & off line. This rapid growth of media technology, the beginning of the time of web 2.0, the popularity of social media and social networks all should be reconsidered in terms of the contact with audience, let alone th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screening of feminist activism videos.

 

Anybody can make a video movie with a DSLR or a smart-phone which are convenient to connect to a lap-top for editing and uploading on the internet. It seems that potentially, anybody can be a video activist. UCC, social media, and social network services make the communication with visual image materials more frequent and easy, which means the creation of a new public area by new media. Also, they may be materials for documentary filmmakers.

 

Cyber space and community provide the space of discussion and resistance to the people without economic and political power like women and other minority groups and help the appearance of plural and post-national subjectivity. women's film festivals may provide the platform for genre-over experiments with the new media environments and the new public area, making some social ‘events,’ or social ‘noises’ I would like to suggest to make a public place streaming and discussing feminist films/videos on-line. Recently, siwff made a network for documentary film directors and has strenghthened daily communication with SNS and web. It will make possible exchanges of programs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mong NAWFF(Network of Asisan Women’s Film Festival) and other women's film festivals.

 

Yet, seeing a wide social context, there's a potentially dangerous factor against women's film festivals. The overall decrease of social movement and cultural politics in Korea society. According to Nam In-young, 90's explosive increase of film festival in Korea is the join of the expectations and desires of change projected to Korean films with new social movements focusing on suppression and inequality which are everyday, cultural, and by regime. However, at the present the activity of civil society is decreasing under neoliberalism and the conservative government, and cultural politics, too. Relationships, solidarity as community, public areas keeping the society firm and steady have got reduced and the politics is getting soft and entertaining to be felt a talk show. In the society where ‘healing’ has become the most important keyword, people like to watch rather ‘healing’ movies than serious films.



The Production of the Feminist Public Area (feminist sphere) Affect, Sympathy, Activity

The purpose of women's film festivals' cultural politics was to connect women's experiences to the public area and maintain areas to increase, change, and enlarge the possibilities, that is, oppositional public areas.

 

Shim Kwang-hyun indicates that the inadequate one today is not media technologies which make fast and easy the approach to knowledge 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but the place for common themes and sympathy where scattered knowledge and concerns can be connected constantly. Feminist works should be founded this ground of sympathy. That's why affect is important for the production of public area together with politics and resistance. Alexander Kluge maintained that public area should be the space to produce politics, affect, and resistance.

 

In “Media, Radical Democracy, and Feminist Sphere”(2003), considering the feminist movement with media and democracy, Kim So-young presented the idea of ‘feminist sphere(yeo-seong-jang, 女性場)’, which is about a series of events, The Beautiful and Bold Womb, a funeral with the memory of the prostitutes in Gunsan (yeo-seong-jang, 女性葬), siwff, feminist internet sites, women's subjectivities which appeared on The World Cup 2002, open possibilities with the internet and electric board. Especially, the activity of a new media of electric board, which represented The World Cup 2002 to feel like action films, is closely involved with the appearance of new female subjectivities.

 

We witnessed the appearance of new subjectivities of ‘girl’ and ‘auntie(‘a-jum-ma’)’ through the candle demonstration against imports of U.S. beef, 2008(the demonstration to the memory of the late ‘Mi-seon and Hyo-sun,’ too). The candle

demonstration kindled live broadcasting with social media at the times of ubiquity time. As Chin Jung-kwon said, a factor to strengthen the quality of play was the activity which gives a new sense of reality feeling like the mix of on-line and offline through interactive broadcasts like (computer) games.

Along with the affect of activity, Kim So-yeong emphasizes the sense of physical and bodily space like women funeral(女性葬). The ‘noises’ by women's film festivals should be based on activity, affect, and sympathy and arise simultaneously on media spaces including on-line and on material and bodily ones, or off-line.